한림패스파인더

한림대학교 교수들로 구성된 각 분야 전문가 집필진이 정책칼럼을 게재 및 공유하는
집단지성 정책제안 프로젝트입니다. (도헌학술원 R&D 기획)

  • 공공정책
  • 한림패스파인더
  • 한림패스파인더 칼럼
2 페이지 21 건의 소식이 있습니다.
  • 11
    경영·경제 2023-11-01
    사회와 자본, 기술을 공진화시키는 ‘복지자본주의’로 가자 ‘제발 그만해… 이러다가는 다 죽어…’ 오징어 게임의 깐부  할아버지의 외침이다. 오늘의 우리 사회를 두고 하는 말인가 싶다. 우리는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57년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선진국 반열에 오른 나라가 되었다. 1인당 GDP가 6..
    이견직(한림대 경영학과)
    자세히 보기
  • 10
    과학·환경 2023-10-16
    외계행성 연구와 인류 문명의 미래 푸른 하늘이 끝도 없이 높아지는 가을이다. 사회적 변화의 바람이 거세고 그것이 때때로 심대한 스트레스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더 없이 맑은 하늘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평온이 찾아오는 계절이다. 날씨와 계절, 하루의 시간대에 따라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이는 하늘은 과..
    고재현(한림대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자세히 보기
  • 9
    과학·환경 2023-10-10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대학의 숙제 현재 우리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시대를 살아간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 AI의 역사적 궤적에서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 기술이 만들고 있는 변곡점을 경험하고 있다. 미국 전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 구글 전 회장 에릭 ..
    박섭형(한림대 소프트웨어학부)
    자세히 보기
  • 8
    왜 모든 인간을 동등하게 대우해야 하는가? 1. 외국인 가사노동자 최저임금 미적용 논란외국인 가사노동자 도입을 둘러싼 논란이 완전히 가라앉지 않은 상태이다. 대구에서 공부하는 유학생들의 이슬람 사원 건립이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힌 사건과 함께 최근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이주민 관련 이슈이다. 우여곡절 끝에 필리핀 ..
    엄한진(한림대 사회학과)
    자세히 보기
  • 7
    지역대학의 세 가지 생존 전략 미생물부터 국가까지 생명체와 조직체의 목적이 생존과 번영에 있다면 대학도 예외일 수 없다. 우리나라의 지역대학들 역시 변화하는 생존 환경에 적응해야 살아남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다. 우리나라 대학의 소멸 이유는 명확하다. 대학을 찾는 학생들이 매년 사라지기 때문이다...
    박준식(한림대 사회학과)
    자세히 보기
  • 6
    잘못된 재난보도와 좋은 저널리즘 올 여름에도 일어나서는 안 되는 사건이 너무 많이 발생했다. 오송지하차도 참사도 그 중 하나이다. 지난 7월 15일, 쏟아진 비가 충북 오송 지하차도에 갑자기 밀려들어 24명이 사망하거나 다쳤다. 언론들은 누구의 잘못인지를 밝혀내려는 추측성 기사들을 보도하기 시작했다...
    김경희(한림대 미디어스쿨)
    자세히 보기
  • 5
    인구, 위기인가? : 다른 시선, 다른 질문 요즘 방송가의 대세(?) 콘텐츠는 ‘저출생/저출산’인 듯하다. TV에서는 저출산 위험에 대한 경고나 출산 장려 메시지가 이런저런 스토리로 각색되어 날마다 전파를 탄다. 대개 정부 정책에 발맞춘 계몽성 프로그램이거나, 드러내놓고 정책 홍보로 일관하는 내용들이다. ‘힘들지..
    신경아(한림대 사회학과)
    자세히 보기
  • 4
    함께하는 만성질환 관리 TV 프로그램에 관찰 예능이 증가하면서 예상치 못한 유행이 생겨났다. 연령대와 무관하게 출연진들이 자기 관리라는 이유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모습이 전파를 타면서 이것이 전국으로 퍼져나간 것이다. 종류도 유산균부터 뇌 영양제, 비타민, 한약까지 다양하고, 출연자의 일..
    신동수(한림대 간호대학)
    자세히 보기
  • 3
    인구집단건강의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1. 건강과 건강결정요인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서의 건강은 전통적으로 질병의 없음과 해부학적, 생리학적, 그리고 심리적 완전성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세계보건기구(WHO)는 1948년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김동현(한림대 의과대학)
    자세히 보기
  • 2
    지속가능한 복지모형과 공정 ‘뒤죽박죽형’ 복지모형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 사회에서 복지분야는 급격한 성장을 해 왔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10여 년 전 무상급식으로 촉발한 복지논쟁은 좀 더 성숙한 논의를 진행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아직..
    최균(한림대 사회복지학부)
    자세히 보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