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와 공정 1 : 키워드 한국 공론장
페이지 정보
- 최고관리자
- 24-08-27
- 143 views
본문
한국 사회에서 ‘정의와 공정’이란 무엇인가?
오해와 갈등을 넘어 이해와 소통의 공론장으로
『정의와 공정 1: 키워드 한국 공론장』은 최근 한국 사회의 화두인 정의와 공정 담론의 주요 주제인 젠더, 노동, 이주민, 청년의 의미와 역사적 변화, 한국 사회에서의 활용 방식 등을 살펴보면서 공론장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이끄는 책이다. 공론장의 핵심 키워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합리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림대 도헌학술원에서 기획한 ‘키워드 한국 공론장’ 강연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각 주제별로 전문성을 인정받은 철학자, 사회학자, 문화인류학자 등 5인의 전문가가 저자로 참여하여 관련 주제에 대한 잘못된 관념을 짚어 내고 이를 넘어서는 해법을 제시했다. 한국 공론장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깊은 학문적 통찰이 담긴 이 책은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공유하고 건설적 논의를 하는 데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서문 5
1장 정의와 공정의 재검토 / 목광수
1. 한국 사회에서의 정의와 공정 이슈 19
2. 정의의 개념사와 의미 분석 23
3. 공정의 의미 분석과 개념사 26
4. 한국 사회에서의 실력주의 공정 32
5. 실력주의 공정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이유 38
6. 《정의론》 입체적 독해로 대안 모색하기 43
7. 정의로운 사회를 향한 첫걸음:
부정의 제거 경험을 통한 사회 협력의 경험 축적 50
2장 젠더란 무엇인가?: 갈등과 이분법을 넘어 / 신경아
1. 한국 사회 젠더갈등의 전개 57
2.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젠더 인식 62
3. ‘젠더’ 개념 다시 보기: 급진주의와 사회구성주의 68
4. 젠더 이분법 비판 74
5. 젠더 경계 활동 77
6. 몸과 젠더 위치 78
7.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79
8.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젠더와 인간을 넘어 84
9. AI 시대에는 젠더 이분법이 사라질 수 있을까? 88
10.젠더 정의, 그리고 이분법을 넘어서는 상상의 필요성 92
3장 공론장에 선 노동 / 이병훈
1. 노동 이슈의 각축적 공론장 97
2. 노동 개념의 이해 100
3. 노동 상품화를 둘러싼 주요 논점 108
4. 한국 사회의 주요 노동 이슈 117
5. 극한 대립의 노동 공론장 124
6. 상생적 공론화를 위하여 130
4장 이주, 다문화 개념과 혼돈의 공론장 / 설동훈
1. 한국 사회에서 이주의 의미 135
2. 이주,다문화 개념 136
3. 이주,다문화 개념사 147
4. 한국 공론장에서의 이주,다문화 162
5장 ‘청년’이라는 배치 / 조문영
1. 21세기 한국의 ‘청년세대’ 177
2. 청년을 문제화한 조건들 184
3. 청년세대의 수행성 187
4. ‘밀레니얼 청년’의 배치 193
5. ‘이대남 대 이대녀’의 배치 196
6. ‘MZ세대 공정론’의 배치 200
7. 다른 청년, 다른 배치 206
저자 소개 215
오해와 갈등을 넘어 이해와 소통의 공론장으로
『정의와 공정 1: 키워드 한국 공론장』은 최근 한국 사회의 화두인 정의와 공정 담론의 주요 주제인 젠더, 노동, 이주민, 청년의 의미와 역사적 변화, 한국 사회에서의 활용 방식 등을 살펴보면서 공론장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이끄는 책이다. 공론장의 핵심 키워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합리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림대 도헌학술원에서 기획한 ‘키워드 한국 공론장’ 강연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각 주제별로 전문성을 인정받은 철학자, 사회학자, 문화인류학자 등 5인의 전문가가 저자로 참여하여 관련 주제에 대한 잘못된 관념을 짚어 내고 이를 넘어서는 해법을 제시했다. 한국 공론장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깊은 학문적 통찰이 담긴 이 책은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공유하고 건설적 논의를 하는 데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서문 5
1장 정의와 공정의 재검토 / 목광수
1. 한국 사회에서의 정의와 공정 이슈 19
2. 정의의 개념사와 의미 분석 23
3. 공정의 의미 분석과 개념사 26
4. 한국 사회에서의 실력주의 공정 32
5. 실력주의 공정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이유 38
6. 《정의론》 입체적 독해로 대안 모색하기 43
7. 정의로운 사회를 향한 첫걸음:
부정의 제거 경험을 통한 사회 협력의 경험 축적 50
2장 젠더란 무엇인가?: 갈등과 이분법을 넘어 / 신경아
1. 한국 사회 젠더갈등의 전개 57
2.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젠더 인식 62
3. ‘젠더’ 개념 다시 보기: 급진주의와 사회구성주의 68
4. 젠더 이분법 비판 74
5. 젠더 경계 활동 77
6. 몸과 젠더 위치 78
7.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79
8.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젠더와 인간을 넘어 84
9. AI 시대에는 젠더 이분법이 사라질 수 있을까? 88
10.젠더 정의, 그리고 이분법을 넘어서는 상상의 필요성 92
3장 공론장에 선 노동 / 이병훈
1. 노동 이슈의 각축적 공론장 97
2. 노동 개념의 이해 100
3. 노동 상품화를 둘러싼 주요 논점 108
4. 한국 사회의 주요 노동 이슈 117
5. 극한 대립의 노동 공론장 124
6. 상생적 공론화를 위하여 130
4장 이주, 다문화 개념과 혼돈의 공론장 / 설동훈
1. 한국 사회에서 이주의 의미 135
2. 이주,다문화 개념 136
3. 이주,다문화 개념사 147
4. 한국 공론장에서의 이주,다문화 162
5장 ‘청년’이라는 배치 / 조문영
1. 21세기 한국의 ‘청년세대’ 177
2. 청년을 문제화한 조건들 184
3. 청년세대의 수행성 187
4. ‘밀레니얼 청년’의 배치 193
5. ‘이대남 대 이대녀’의 배치 196
6. ‘MZ세대 공정론’의 배치 200
7. 다른 청년, 다른 배치 206
저자 소개 215
- 이전글정의와 공정 2 : 키워드 한국 공론장 25.01.14
- 다음글AI시대 대학교육의 미래 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