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한국 지성의 몰락 : 미네르바 부엉이는 날지 않는다
페이지 정보
- 최고관리자
- 23-11-16
- 373 views
본문
21세기 한국, 지성인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실종된 지식인들을 찾는 탐사기
21세기에는 챗GPT와 AI첨단과학의 독주 시대가 열렸다. 극단적이기는 마찬가지인데, 세계도 한국도 지성인의 존재감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첨단과학의 위세에 눌려 지성의 요람이라 할 수 있는 인문사회과학 영역이 형편없이 쪼그라들었다. 그래도 세기적인 문명사가와 지성인의 비판적 담론이 꾸준히 생산되는 외국의 실정에 비해, 한국의 사정은 빈약하기 짝이 없다. 시대의 어른이자 지성인이라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은 자취를 감췄고, 공공지식인의 존재도 사그라들었다. 대학 내부로 빨려 들어가 은신하거나 정치권으로 흡수돼 지식인의 망토를 벗어 던졌다. 대학은 사회의 리더가 아니라 추종자가 됐다.
지난 20여 년간 강화된 대학경쟁력 레이스에서 교수들은 논문제조기가 됐다.
대중매체를 떠나 전문학술지로 이주했다. 학자적 소명을 내려놓고 월급생활자가 됐다. … 이 초라하기 짝이 없는 초상肖像을 찾고 원인을 밝히는 작업에 탐조등을 켤 필요는 없었다. 필자의 경험 그 자체다. 지난 30여 년의 여정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다. 그래도 지성이 불을 밝히는 시대를 갈망한 직업적 학문 여정이 '지성의 몰락'에 당도할 줄이야 상상하지 못했다. 슬프지만 반드시 들춰내야 하는 현실이다. 길은 만들어진다.
목차
서문 5
1부 막 오른 문명 대변혁
1장 21세기 문명의 도래
지축이 흔들린다 23
이데올로기에서 과학의 시대로 32
2장 규율권력, 과학기술
오픈AI의 출현 43
에릭 슈미트를 만나다 46
실리콘 제국 51
갑마장(甲馬場) 한국 55
행동예측상품과 감시모델의 작동 58
자유는 무지라는 명제 64
망명할 권리를 찾아서 69
3장 팬데믹이 가르쳐 준 것, 문명적 뉴딜
K-방역은 성공했나 73
‘사회적 포용’의 수준 79
땅의 문명 86
문명의 그늘 88
뉴노멀의 출현 95
문명사적 각성 103
2부 대학의 사회생태학: 아카데미즘의 본질 변화
4장 대학과 지성
문명의 휘슬블로어 117
아웃사이더와 공중(公衆) 124
생존이 시급한 한국 대학 136
총장의 고뇌 140
국가경쟁력 각축전 144
증발된 지성의 열정 149
5장 대학의 진화와 사회생태학
대학의 진화 153
멀티버시티(Multiversity) 160
대학의 사회생태학 165
선택의 딜레마 174
6장 대학의 조직 생리와 양면성의 정치
교육과 학력시장 179
자유를 제한하는 ‘경쟁’ 185
캠퍼스의 평등주의 190
교수의 행위양식: 의사 사회주의(Quasi-Socialism) 197
학내 정치와 리더십: 양면성의 정치 209
3부 지성의 몰락: 대중과 작별 또는 이념의 전사 되기
7장 지식인의 실종
영혼 있는 대학 219
교수 평가제도: ‘Publish or Perish’ 228
적자생존과 구조조정 242
한국연구재단과 BK21 250
대중과 작별하기: 전문학술지의 시대 258
8장 민주주의는 왜 지성을 몰락시켰는가?
청산의 정치 275
반지성 민주주의 283
피 묻은 세대 전선: 586세대의 정신구조 296
해원의 정치와 이데올로기 분열 305
결론: 출구 찾기
두 개의 단층선 319
문명, 그 모순의 상동구조 344
미주 357
실종된 지식인들을 찾는 탐사기
21세기에는 챗GPT와 AI첨단과학의 독주 시대가 열렸다. 극단적이기는 마찬가지인데, 세계도 한국도 지성인의 존재감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첨단과학의 위세에 눌려 지성의 요람이라 할 수 있는 인문사회과학 영역이 형편없이 쪼그라들었다. 그래도 세기적인 문명사가와 지성인의 비판적 담론이 꾸준히 생산되는 외국의 실정에 비해, 한국의 사정은 빈약하기 짝이 없다. 시대의 어른이자 지성인이라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은 자취를 감췄고, 공공지식인의 존재도 사그라들었다. 대학 내부로 빨려 들어가 은신하거나 정치권으로 흡수돼 지식인의 망토를 벗어 던졌다. 대학은 사회의 리더가 아니라 추종자가 됐다.
지난 20여 년간 강화된 대학경쟁력 레이스에서 교수들은 논문제조기가 됐다.
대중매체를 떠나 전문학술지로 이주했다. 학자적 소명을 내려놓고 월급생활자가 됐다. … 이 초라하기 짝이 없는 초상肖像을 찾고 원인을 밝히는 작업에 탐조등을 켤 필요는 없었다. 필자의 경험 그 자체다. 지난 30여 년의 여정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다. 그래도 지성이 불을 밝히는 시대를 갈망한 직업적 학문 여정이 '지성의 몰락'에 당도할 줄이야 상상하지 못했다. 슬프지만 반드시 들춰내야 하는 현실이다. 길은 만들어진다.
목차
서문 5
1부 막 오른 문명 대변혁
1장 21세기 문명의 도래
지축이 흔들린다 23
이데올로기에서 과학의 시대로 32
2장 규율권력, 과학기술
오픈AI의 출현 43
에릭 슈미트를 만나다 46
실리콘 제국 51
갑마장(甲馬場) 한국 55
행동예측상품과 감시모델의 작동 58
자유는 무지라는 명제 64
망명할 권리를 찾아서 69
3장 팬데믹이 가르쳐 준 것, 문명적 뉴딜
K-방역은 성공했나 73
‘사회적 포용’의 수준 79
땅의 문명 86
문명의 그늘 88
뉴노멀의 출현 95
문명사적 각성 103
2부 대학의 사회생태학: 아카데미즘의 본질 변화
4장 대학과 지성
문명의 휘슬블로어 117
아웃사이더와 공중(公衆) 124
생존이 시급한 한국 대학 136
총장의 고뇌 140
국가경쟁력 각축전 144
증발된 지성의 열정 149
5장 대학의 진화와 사회생태학
대학의 진화 153
멀티버시티(Multiversity) 160
대학의 사회생태학 165
선택의 딜레마 174
6장 대학의 조직 생리와 양면성의 정치
교육과 학력시장 179
자유를 제한하는 ‘경쟁’ 185
캠퍼스의 평등주의 190
교수의 행위양식: 의사 사회주의(Quasi-Socialism) 197
학내 정치와 리더십: 양면성의 정치 209
3부 지성의 몰락: 대중과 작별 또는 이념의 전사 되기
7장 지식인의 실종
영혼 있는 대학 219
교수 평가제도: ‘Publish or Perish’ 228
적자생존과 구조조정 242
한국연구재단과 BK21 250
대중과 작별하기: 전문학술지의 시대 258
8장 민주주의는 왜 지성을 몰락시켰는가?
청산의 정치 275
반지성 민주주의 283
피 묻은 세대 전선: 586세대의 정신구조 296
해원의 정치와 이데올로기 분열 305
결론: 출구 찾기
두 개의 단층선 319
문명, 그 모순의 상동구조 344
미주 357
- 이전글AI시대 대학교육의 미래 24.08.27